반응형 알뜰카드2 지금 당장 'K-패스'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 알려드립니다. 오는 2024년 5월 1일부터, 대중교통 비용의 20~53%를 환급해 주는 'K-패스'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. 지금부터 K-패스가 어떠 제도이고 왜 지금 이 시점에서 전환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 K-패스 란?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일종의 교통카드라고 알고 계시면 좋을것 같습니다. 대중교통(시내. 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 등) 정기 이용 시 (월 15회 ~ 60회) 지출금액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(일반인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)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알뜰교통카드와 K-패스의 차이점은? 알뜰교통카드 - 도보,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로 환급 받을수 있습니다. - 출발과 도착을 기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. K-패스 - 이동거리와.. 2024. 4. 12. 대중교통비용 월 최대 6만6천원 절약 가능 (알뜰 교통 플러스 카드) ● 알뜰 교통 플러스 카드란? 알뜰 교통플러스 카드는 국토교통부가 카드사와 손잡고 시민들의 교통비 완화를 위해 시행하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마일리지 형태로 지원금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. 추가로 카드사가 대중교통 요금할 일 혜택을 더 얹어주는 형태입니다. 국토부는 지난 2020년 본격적으로 사업을 이행했는데, 사용자가 꾸준히 늘자 제휴 금융사도 기존 6곳(신한. 우리. 하나카드, KCB, 티머니, DGB(대구은행)에서 7곳 (삼성. 국민. 현대. 농협. 비씨카드. 광주은행. 케이뱅크)를 추가해 총 13곳으로 확대되었습니다. 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횟수도 44회에서 60회로 늘렸습니다. ● 지원대상 사업지역에 거주하는 국민(청년.중장년.노인) - 회원가입가능 지역: 서울, 인천, 경기, 부산, 대구, 대전.. 2023. 7. 22. 이전 1 다음 반응형